본문으로 건너뛰기

옵시디언(Obsidian) GitHub 저장소 연동하여 무료로 동기화하기

· 약 5분
Braun Park
Curious Developer

옵시디언의 공식 Sync 서비스가 너무 비싸서 대안을 찾아보다가, GitHub 저장소를 연동해서 무료로 동기화하는 방법을 발견했습니다.

실제로 적용해보니 생각보다 간단하고 안정적이어서, 같은 고민을 하고 계신 분들을 위해 과정을 정리해봤습니다.

GitHub 연동의 장점:

  • 완전 무료 (Private 저장소도 무료)
  • 여러 기기 간 동기화 가능
  • 버전 관리 기능 제공
  • 백업까지 자동으로 해결

이 포스트에서는 리눅스 환경에서 옵시디언 설치부터 GitHub 연동까지의 전체 과정을 공유하겠습니다.

🎯 옵시디언 GitHub 연동 개요

해결하고 싶었던 문제

옵시디언 공식 Sync의 문제점:

  • 월 $8 구독료 부담
  • 단순한 노트 동기화에는 과한 비용
  • 더 저렴한 대안 필요

GitHub 연동으로 얻는 이점:

  • 완전 무료 동기화
  • Git의 강력한 버전 관리
  • 여러 기기에서 접근 가능
  • 자동 백업 효과

전체 프로세스 개요

  1. GitHub 저장소 생성 → Private 저장소로 노트 관리
  2. 리눅스에 옵시디언 설치 → deb 패키지 다운로드 및 설치
  3. Vault 디렉토리 설정 → Git 저장소와 연동
  4. 동기화 워크플로우 구축 → Pull/Push 루틴 확립

🚀 1단계: GitHub 저장소 준비

저장소 생성

먼저 GitHub에서 새로운 Private 저장소를 생성합니다:

저장소명: obsidian-vault (또는 원하는 이름)
설정: Private 저장소
README: 체크 안 함 (빈 저장소로 시작)

Private 저장소를 추천하는 이유:

  • 개인 노트는 비공개 유지
  • GitHub에서 Private 저장소도 무료 제공
  • 필요시 나중에 Public으로 변경 가능

🐧 2단계: 옵시디언 설치

리눅스에서 설치 (제가 사용한 방법)

저는 리눅스 환경에서 작업했습니다. 옵시디언 공식 사이트에서 Linux용 deb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했습니다:

# deb 패키지 설치
sudo dpkg -i obsidian_1.9.12_amd64.deb

설치 후 확인사항:

  • 응용 프로그램 메뉴에서 Obsidian 확인
  • 첫 실행 시 언어 설정을 한국어로 변경 권장

의존성 문제 해결 (리눅스)

만약 의존성 오류가 발생한다면:

# 의존성 자동 설치
sudo apt-get install -f

Windows/Mac에서 설치

Windows:

  1. Obsidian 공식 사이트에서 Windows용 설치 파일 다운로드
  2. .exe 파일 실행하여 설치
  3. 설치 완료 후 언어 설정을 한국어로 변경

Mac:

  1. Obsidian 공식 사이트에서 macOS용 설치 파일 다운로드
  2. .dmg 파일을 열어 Applications 폴더로 드래그
  3. 설치 완료 후 언어 설정을 한국어로 변경

참고: 이후 설명은 리눅스 환경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지만, Git 명령어와 옵시디언 사용법은 모든 운영체제에서 동일합니다.

📁 3단계: Vault와 Git 저장소 연동

로컬 디렉토리 준비

Vault로 사용할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GitHub 저장소를 클론합니다:

# Vault 디렉토리 생성
mkdir obsidian-vault
cd obsidian-vault

# GitHub 저장소 클론
git clone https://github.com/yourusername/obsidian-vault.git .

옵시디언에서 Vault 열기

  1. 옵시디언 실행
  2. 언어 설정을 한국어로 변경
  3. "보관함 폴더 열기" 클릭
  4. 방금 생성한 obsidian-vault 디렉토리 선택
  5. 옵시디언이 해당 디렉토리에 .obsidian/ 폴더 자동 생성

Git 설정 최적화

옵시디언 설정 파일은 동기화에서 제외하는 것이 좋습니다:

# .gitignore 파일 생성
echo ".obsidian/" >> .gitignore

.obsidian/ 폴더를 제외하는 이유:

  • 개인별 환경 설정이 다름
  • 플러그인 설정이 기기마다 상이할 수 있음
  • 노트 내용만 동기화하는 것이 안전

✅ 4단계: 동기화 테스트

첫 번째 노트 작성

옵시디언에서 테스트 노트를 작성해봅니다:

# 테스트 노트

GitHub 연동 테스트입니다.
- 작성일: 2025-09-18
- 상태: 동기화 테스트 중

Git 상태 확인

# 변경사항 확인
git status

정상적으로 연동되었다면 새로 작성한 노트 파일이 표시됩니다.

첫 번째 동기화

# 변경사항 스테이징
git add .

# 커밋 생성
git commit -m "첫 번째 노트 추가"

# GitHub에 푸시
git push origin main

🔄 일상적인 동기화 워크플로우

작업 시작 전 (Pull)

cd obsidian-vault
git pull origin main

다른 기기에서 작업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항상 먼저 Pull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업 완료 후 (Push)

# 변경사항 확인
git status

# 모든 변경사항 스테이징
git add .

# 의미있는 커밋 메시지 작성
git commit -m "오늘의 학습 노트 추가"

# GitHub에 푸시
git push origin main

충돌 해결 준비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

  • 여러 기기에서 동시에 같은 파일 수정
  • Pull 없이 Push 시도
  • 네트워크 문제로 동기화 누락

충돌 예방법:

  • 작업 전 항상 git pull
  • 작업 후 즉시 git push
  • 한 번에 하나의 기기에서만 작업하는 습관

🛠️ 추가 기기에서 설정하기

다른 리눅스 기기에서

# 옵시디언 먼저 설치
sudo dpkg -i obsidian_1.9.12_amd64.deb

# 옵시디언 실행하여 원하는 위치에 새 보관함 생성
# (옵시디언에서 보관함 폴더 열기 → 원하는 경로 선택)
# 이 과정에서 .obsidian/ 폴더가 생성됨

# 새로운 기기에서 vault 디렉토리로 이동
cd obsidian-vault # 옵시디언에서 설정한 보관함 경로

# 첫 번째 기기에서 작업한 내용 가져오기
git init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yourusername/obsidian-vault.git
git pull origin main

Windows/Mac에서

  1. 옵시디언 설치
  2. Git 클라이언트 설치 (GitHub Desktop 추천)
  3. 저장소 클론
  4. 옵시디언에서 클론한 폴더 열기

⚠️ 주의사항 및 팁

중요한 주의사항

충돌 관리:

  • 여러 기기에서 동시 작업 시 충돌 가능성
  • 작업 전 Pull, 작업 후 Push 습관화 필요
  • 충돌 발생 시 Git 기본 지식 필요

백업의 중요성:

  • GitHub이 주 저장소이지만 로컬 백업도 권장
  • 중요한 노트는 별도 백업 고려

효율적인 사용 팁

커밋 메시지 규칙:

git commit -m "프로젝트 A 회의록 추가"
git commit -m "알고리즘 학습 노트 업데이트"
git commit -m "독서 노트: Clean Code 1-3장"

브랜치 활용:

  • 실험적인 노트는 별도 브랜치에서 작업
  • 안정화 후 main 브랜치에 병합

자동화 스크립트:

#!/bin/bash
# sync.sh - 간단한 동기화 스크립트
cd ~/obsidian-vault
git pull origin main
echo "Pull 완료. 작업 후 다시 실행하세요."

# 작업 후 실행할 스크립트
# git add . && git commit -m "$(date): 노트 업데이트" && git push origin main

💡 추가 개선 아이디어

플러그인 활용

Git 관련 플러그인:

  • Obsidian Git: 옵시디언 내에서 Git 명령 실행
  • Auto Sync: 자동 동기화 기능

주의사항:

  • 플러그인 설정은 .obsidian/ 폴더에 저장됨
  • .obsidian/을 gitignore에 추가했다면 수동 설정 필요

고급 워크플로우

다중 Vault 관리:

# 개인용
git clone https://github.com/username/personal-notes.git

# 업무용
git clone https://github.com/username/work-notes.git

템플릿 활용:

  • 일일 노트 템플릿
  • 프로젝트 노트 템플릿
  • 회의록 템플릿

📝 마무리

GitHub를 활용한 옵시디언 동기화는 공식 Sync 대비 몇 가지 제약이 있지만, 무료라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이 방법이 적합한 사람

추천하는 경우:

  • Git 기본 사용법을 알고 있음
  • 비용 절약이 중요함
  • 버전 관리 기능을 활용하고 싶음
  • 기술적 문제 해결을 즐김

추천하지 않는 경우:

  • Git에 익숙하지 않음
  • 완전 자동화된 동기화 원함
  • 충돌 해결에 시간 쓰기 싫음
  • 비기술직으로 간단함 선호

실제 사용 후기

장점:

  • 완전 무료로 여러 기기 동기화
  • Git의 강력한 버전 관리
  • 노트 히스토리 추적 가능
  • 실수로 삭제해도 복구 가능

단점:

  • 초기 설정에 기술적 지식 필요
  • 충돌 상황에서 수동 해결 필요
  • 실시간 동기화 아님 (수동 Pull/Push)

현재 1주 정도 사용해보니 Pull/Push 습관만 들이면 큰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옵시디언 Sync 비용이 부담스러우신 분들께 좋은 대안이 될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