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맥 미니 SSH 원격 접속 설정 가이드

· 약 4분
Braun Park
Curious Developer

현재 집에서는 맥 미니를, 그리고 개발용 노트북을 하나 가지고 개발을 하고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괜찮았는데, 어느새 노트북이 너무 무겁더라구요. 노트북만 2kg에, 중고 노트북을 샀더니 배터리도 오래 가지 않아 충전기도 챙겼더니 무게가 엄청 났습니다. 그러다가 고민하다 보니 요즘은 Claude Code로 코딩을 하는 경우가 많아서 굳이 무거운 노트북을 들고 다닐 필요가 있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생각해보니 원격으로 하면 되겠다는 생각이 들어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현재 핸드폰을 갤럭시Z폴드7을 쓰고 있어서 핸드폰으로도 어느정도 간단한 작업은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이번에 작업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맥 미니를 집에 두고 외부에서 SSH로 접속하는 방법! 포트포워딩 작업도 필요하지만 굳이 없이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더라구요.

Tailscale VPN을 활용하면 무료로 안전하게 원격 접속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의 핵심:

  • Tailscale VPN으로 안전한 연결 (포트포워딩 불필요)
  • SSH 키 인증으로 비밀번호 없이 접속
  •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도 편리하게 접근
  • 집 안팎 어디서든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

실제로 설정하고 사용하면서 정리한 내용을 단계별로 공유합니다.

Jira와 GitHub 연동으로 소규모 프로젝트 이슈 관리 효율화하기

· 약 6분
Braun Park
Curious Developer

소규모 프로젝트에서 개발과 기획을 오가며 작업하다 보면, 코드와 이슈 관리가 따로 놀아서 번거로운 경우가 많습니다.

Jira에서 이슈를 만들고, GitHub에서 커밋을 하고, 다시 Jira로 돌아가서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이 반복되죠.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Jira와 GitHub을 연동해봤더니, 생각보다 간단하면서도 워크플로우가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연동 후 달라진 점:

  • 커밋 메시지로 Jira 이슈 상태 자동 변경
  • GitHub에서 코드 변경사항을 Jira에서 바로 확인
  • 작업 시간을 커밋과 함께 자동 기록
  • 프로젝트 진행 상황의 실시간 추적

거대한 로그 파일에서 원하는 내용 찾기 완벽 가이드

· 약 11분
Braun Park
Curious Developer

서버 운영이나 개발 중에 로그 파일이 몇 GB씩 커져서 원하는 내용을 찾기 어려운 경험, 다들 있으실 거예요.

특히 tail -f로 실시간 모니터링은 되지만 이전 로그를 확인하려면 막막하고, 파일이 너무 커서 에디터로 열기도 부담스럽죠.

실제 개발 현장에서 겪은 로그 분석 문제들과 해결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도움이 됩니다:

  • 몇 GB짜리 로그 파일에서 특정 에러 찾기
  • 특정 시간대의 로그만 확인하고 싶을 때
  • 실시간 모니터링과 과거 로그 분석을 동시에
  • 로그 파일이 너무 커서 vim/nano로 열 수 없을 때

옵시디언(Obsidian) GitHub 저장소 연동하여 무료로 동기화하기

· 약 5분
Braun Park
Curious Developer

옵시디언의 공식 Sync 서비스가 너무 비싸서 대안을 찾아보다가, GitHub 저장소를 연동해서 무료로 동기화하는 방법을 발견했습니다.

실제로 적용해보니 생각보다 간단하고 안정적이어서, 같은 고민을 하고 계신 분들을 위해 과정을 정리해봤습니다.

GitHub 연동의 장점:

  • 완전 무료 (Private 저장소도 무료)
  • 여러 기기 간 동기화 가능
  • 버전 관리 기능 제공
  • 백업까지 자동으로 해결

이 포스트에서는 리눅스 환경에서 옵시디언 설치부터 GitHub 연동까지의 전체 과정을 공유하겠습니다.

Storybook으로 디자이너와 개발자 협업 시작하기

· 약 5분
Braun Park
Curious Developer

이번에 새로운 디자이너님과 협업을 하게 되었는데, 초기 단계부터 시작하는 거라서 처음부터 디자인 시스템을 잡고 가기로 했습니다.

이전 프로젝트에서 경험했던 문제들:

  • 디자이너: "개발자들이 피그마와 다르게 구현해요"
  • 개발자: "디자인이 개발 중에 자주 바뀌어요"
  • 공통: 스크린샷 주고받기, 반복적인 확인 과정
  • 결과: 소통 비용 증가, 일관성 부족

그래서 이번에는 다르게 접근하기로 했습니다: 처음부터 Storybook으로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체계적인 협업 프로세스를 만들어보기로 했습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Next.js에서 Storybook을 설치하고 디자이너와 협업하기 위한 초기 세팅 과정을 공유하겠습니다.

Flutter 개발 환경 구축 및 첫 프로젝트 실행하기

· 약 4분
Braun Park
Curious Developer

최근에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면서 앱서비스를 만들어 보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많이들 사용하시는 Flutter를 이용해서 개발해보기로 했는데요, 이 포스트에서는 Flutter 개발 환경을 구축하고 첫 번째 프로젝트를 생성해서 실행하는 전체 과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Firebase Hosting과 GitHub Actions로 Docusaurus 자동배포 구축하기

· 약 5분
Braun Park
Curious Developer

Firebase Hosting과 GitHub Actions를 활용해서 Docusaurus 블로그를 자동으로 배포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이 가이드를 따라하면 코드를 푸시할 때마다 자동으로 사이트가 배포되는 완전한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